12월 31, 2024

Wpick

지상에서 한국의 최신 개발 상황을 파악하세요

유엔에서 북한을 교착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라

유엔에서 북한을 교착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라

6월 1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인권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가졌습니다. 이야기가 나온 지 10년이 지났습니다. 유엔 조사위원회 북한은 광범위한 기록을 문서화했다. 인류에 반하는 범죄 및 기타 위반 행위에 대해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을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6월 12일 회의에서 안보리는 인권 침해, 강제 노동, 기타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 이행 및 지원과 관련된 문제 간의 연관성에 특히 초점을 맞췄습니다.

러시아와 중국은 회의에 항의했고, 러시아는 회의 진행 여부에 대한 절차적 투표를 요구했다. 15명의 이사회 구성원 중 12명이 찬성표를 던졌고, 러시아와 중국이 반대표를 던졌고, 모잠비크는 기권했습니다. 실제 투표에서 거부권이 없었기 때문에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회의는 진행되었습니다.

두 명의 상임이사국은 북한의 '내부' 인권 문제가 국제 평화와 안보를 감독하는 안보리의 일반적인 권한에 속하지 않는다고 오랫동안 주장해 왔습니다.

인권 위기를 정기적으로 논의하는 유엔 기구에서는 그러한 반대가 우스꽝스럽습니다. 북한인권 문제는 10년 전 11개 이사국의 승인을 받아 기존의 비확산 문제와는 별개의 항목으로 이사회의 의제에 공식적으로 상정되었습니다. 이사회 구성원들은 2014년부터 북한 확산에 관한 20회 이상의 회의를 통해 인권 문제와 북한 무기 프로그램과의 연관성을 제기해 왔습니다. 가장 최근에 해결 2017년 중국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북한에 대한 비확산 제재 갱신에는 인권 침해에 대한 표현이 포함되었습니다.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은 북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국경을 넘어 확대되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은 국내에서의 탄압과 강제노동을 통해 수행된다. 지난 10년 동안 수천 명의 북한 주민들이 고문과 죽음의 위험을 무릅쓰고 한국이나 중국으로 탈출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10년 간의 “토론”은 아무 소용이 없었고, 미국, 러시아, 중국 간의 삼각 긴장이 고조되면서 이사회의 난관이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3월 28일, 러시아 금지됨 이전에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 준수 여부를 감시했던 전문가 패널의 권한을 갱신하기 위한 안보리가 결의했습니다. 그리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 5월 31일 토론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은 북한이 나흘 만에 실시한 것이다. 정찰위성을 발사했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핵과 탄도무기 프로그램 등 오랜 기간 단일화된 문제들에 대해서도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교착상태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습니다.

유엔 총회는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매년 이를 규탄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있습니다. 2014년 조사위원회 보고서를 안전보장이사회에 전달하고 위원회 조사 결과에 대한 조치를 권고한 것은 총회였습니다. 안보리가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총회는 북한의 인권과 확산 문제를 감시하고 보고하는 새로운 기구를 창설해 점증하는 인권과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

총회는 국제 인권 및 인도주의 문제, 무기 확산 및 제재 전문가들로 구성된 새로운 메커니즘을 만들어 인권 침해와 무기 개발 문제를 모두 보고하고 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해야 합니다. 군에 의한 강제노동, 근로자의 방사능 오염 보고, 민간인을 희생한 필수 자원 유용 등 중요한 문제를 조사해야 합니다.

인권 침해와 무기 확산과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존하기 위한 강력한 시스템은 체계적인 학대에 대한 향후 책임 규명에 기여할 것입니다. 제재가 인도주의적 문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자세한 보고를 제공하고 이전 전문가 패널이 그랬던 것처럼 제재 모니터링에 대한 지침을 요청하는 정부에 기술 지원을 제공합니다.

무활동은 더 이상 선택 사항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사실상 북한 문제에 대해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유엔총회는 나서서 나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