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4, 2025

Wpick

지상에서 한국의 최신 개발 상황을 파악하세요

한국의 노인 장기 요양 서비스 개선

한국의 노인 장기 요양 서비스 개선

한국의 노인 장기 요양 서비스 개선

인구 고령화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장기 요양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장기요양이란 노인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 및 지원으로 정의됩니다. 한국의 노인 돌봄은 전통적으로 가족의 책임이었습니다. 2006년 정부 설문조사 보고됨 한국인의 67.3%가 노부모를 부양하는 것이 가족의 책임이라고 생각했지만 2016년에는 32.6%에 그쳤다. 이러한 변화는 2008년 보편적 장기요양보험(LTCI)의 도입으로 가속화되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노인에게 종합적이고 보편적인 장기요양보험을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를 도입했다.

LTCI에 따른 장기요양 지출은 2009-18년에 연평균 15.2% 증가한 반면 수혜자 수는 9.3% 증가했습니다. 공공 LTCI는 장기 요양에 자금을 지원하지만, 민간 부문 조직 제공 대부분의 관심. 실제로 장기요양시설과 간병인의 수는 LTCI의 첫 10년 동안 3배로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장기요양비 지출은 2019년 GDP의 1.1%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이는 한국의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를 반영하여 네덜란드 및 일부 북유럽 국가의 3% 이상(그림 1)과 비교됩니다.

그러나 한국의 급속한 인구 고령화는 장기요양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019년 한국 인구의 14.9%가 65세 이상이다(그림 2). 이는 OECD 평균인 17.3%와 비교된다. 2050년에는 그 비율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4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장기 요양 서비스가 가장 필요한 연령대인 80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4% 미만에서 2050년까지 1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그림 3).

지역사회 입원 문제 해결

LTCI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건강이 안정적이고 치료가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 입원 환자로 치료받는 노인으로 정의되는 “지역사회 입원”을 줄이는 것입니다. 즉, LTCI는 장기요양을 “의료화”하고 한국의 보편적인 국민건강보험(NHI)에 대한 재정적 압박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목표는 에서 설명한 대로 달성되지 않았습니다. 2022년 OECD 한국경제조사.

한국은 노인 1,000명당 장기요양병상이 60개로 OECD 평균인 46개와 비교된다(그림 4). 그러나 이들 중 59%가 장기요양병원에 있어 아급성 치료, 완화 치료, 재활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에 집중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2019년 장기요양병원 환자의 약 40%를 ‘지역사회입원’이 차지한 것으로 추산했다. 이 환자들 대부분은 인지 장애와 신체 기능 장애가 있었고 장기 치료에서 더 나은 치료를 받을 것입니다. 회사. 또한, 2019년 평균 장기 입원일은 165일이었습니다. 지역사회 입원으로 이어지는 비효율적인 자원 사용, 요양병원에서 진료가 필요한 많은 환자들이 병상이 없어 진료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장기요양기관에 머물고 있는 노인의 약 30%가 병원 치료가 필요하지만 이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환자들은 장기요양기관(LTCI 보장)에 비해 재정적 이점 때문에 장기요양병원(NHI 보장)을 선호합니다. LTCI와 달리 NHI는 환자가 지불하는 금액에 상한선이 있습니다. 특히, 장기간 병원에 입원하고자 하는 고령자 선택하라는 메시지 표시 장기 요양 병원. LDCI와 NHI 상환 체계를 조화시키고 의료 서비스가 끝난 후 입원하는 사람들에게 추가 요금을 부과하면 사회적 입원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병원도 지역사회입원의 혜택을 받습니다. 일일 정액 상환을 고려할 때 장기 요양 병원은 의료 합병증이 적은 저임금 환자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환자의 질병 중증도에 따라 정액 지불 시스템을 조정하면 지역 사회 입원이 줄어들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장기요양병원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로 민간 장기요양시설과 재택간호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더 나은 추적 지자체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시설이 질을 높일 수 있다.

재택 돌봄 확대

많은 OECD 국가에서는 비용을 줄이고 노인의 필요를 더 잘 충족시키기 위해 노인을 위한 재택 기반 장기 요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접근 가능하고 저렴하며 고품질의 가정 기반 돌봄이 부족한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실제로 2009년 이후 재택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비율은 감소한 반면 총 돌봄 수혜자는 두 배가 되었습니다. 재가 기반 치료의 부족은 부적절한 재정 및 인적 자원을 반영합니다. 재택 간호에 대한 공공 지출은 OECD 평균의 절반 미만이며(그림 5), 장기 요양원 간호사의 수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습니다(그림 6). 이것은 비효율적입니다. 방문 간호사 서비스가 의료 비용을 낮추고 장기 요양 병원에 입원하는 기간을 단축시킨다는 증거가 있기 때문입니다. 간호사 부족의 원인은 저임금, 열악한 근무환경, 불안정한 계약 때문이다. 외국인 간호사는 한국어로만 시행되는 국가시험에 합격해야만 근무할 수 있습니다.

결론

OECD는 인구 고령화로 인해 일반 사회 지출이 2019년 12%에서 2060년 23%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장기 요양 비용이 이러한 증가에 기여할 것입니다. LTCI 프리미엄은 매출액 대비 0.7%로 독일(3.05%)과 일본(1.5%)보다는 여전히 낮지만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정부가 여러 개혁을 통해 노인들에게 양질의 장기요양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 번째, 한국은 부분적으로는 지역사회 입원을 줄이기 위해 LTCI 및 NHI 환급 체계를 조화시킵니다. 둘째, 한국은 병원, 장기요양기관, 재택간호, 1차진료 간 보다 전문화되고 조율된 통합장기요양시스템이 필요하다. 셋째, 재택간호사를 확충하여 재택간호를 개선·확대해야 한다.

랜달 S. 존스는 미주 한국경제연구원의 비상주 연구원이다. 여기에 표현된 견해는 전적으로 저자의 견해입니다.

사진 셔터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