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3, 2024

Wpick

지상에서 한국의 최신 개발 상황을 파악하세요

일본 총리의 북-미 정상회담 실현 시도가 먹힐 것 같지 않다

일본 총리의 북-미 정상회담 실현 시도가 먹힐 것 같지 않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총선을 앞둔 내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북-미 정상회담 실현에 매진할 의향이 있지만 단기간에 결실을 맺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시다 의원은 정기국회에서 중의원 해산을 6월 21일까지 연기하면서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북한에 의해 납치된 일본인의 오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습니다.

지난 5월 말 기시다는 갑작스럽게 일본과 평양 사이에 고위급 회담을 개최하겠다고 약속해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의 첫 회담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지만 어떤 형식의 회담을 기대했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기시다 후미오(왼쪽 교토) 일본 총리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조선중앙통신/교도통신)

일부 의원들은 기시다의 외교적 움직임이 내년 9월 자민당 대표로 재선될 가능성을 높이고 중의원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것이라고 시사했다.

북한이 2014년 스톡홀름에서 확인된 밀수 문제 해결을 위한 양자 합의를 깨고 일본이 북한과 연락을 끊었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과의 기시다 정상회담이 성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유엔은 2016년 협정을 위반한 이후 일본은 안보리 결의를 무시하고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개발에 대해 제재를 강화했고, 북한은 밀수 문제가 이미 해결됐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국방 동맹국인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2018년부터 약 2년 동안 북한과 비핵화 협상을 벌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평양 간의 공식적인 대화는 휴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북한 정세에 정통한 소식통은 기시다가 2017년부터 스톡홀름 합의에 따라 5년간 외무상을 지낸 뒤 2021년 10월 총리가 됐을 때 “납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확고한 의지가 있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기시다 장관은 그러한 조치가 북한에 의해 납치된 일본인의 “귀환 달성”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면 북한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기시다가 북-미 정상회담의 발판을 마련한다면 “외교의 핵심 인물로서의 이미지를 높이고 큰 반발을 일으켜 중의원 해산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두 아시아 국가는 외교 관계가 없습니다. 기시다는 또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역사적인 2002년 평양 방문 당시 외무성 고위 관리가 그랬던 것처럼 북한과 비밀 회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관리는 김정일의 아버지이자 전 지도자인 김정일과 강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미스터 X”로만 불리는 북한의 상대와 회담을 가졌다.

스티븐 나기 국제기독교대학 교수에 따르면 기시다는 인프라와 식량 등의 분야에 대한 원조를 약속했다. 규칙.”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북한 경제 붕괴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행정부와의 접촉 부족으로 김 위원장은 밀수 문제를 이용해 일본의 “제재에 대한 양보”를 얻으려 할 수도 있다. , 나기가 말했다.

북한이 모든 핵 시설과 프로그램을 포기하라는 미국의 요구를 거부함에 따라 2019년 말부터 비핵화와 제재 완화에 관한 미국과 북한 간의 대화가 중단되었습니다.

기시다가 평양과 대화를 시작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직후, 북한 외무성 관계자는 국영매체를 통해 두 나라가 만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Nagy는 일본이 “북한과의 논의를 발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과 북한 간의 일종의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정치 전문가들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가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북한이 일본에 대해 점점 더 적대적이 되어감에 따라 김정은과의 회담을 성사시키려는 기시다의 노력이 실패로 끝날 것이라고 말했다.

2006년부터 약 1년 동안 총리를 지냈고 2012년 일본 최고 정치 지도자로 복귀한 보수 매파 정치인으로 알려진 아베 정부는 2014년 북한과 스톡홀름 협정을 중개했다.

합의에 따라 일본은 납치 사건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를 약속하는 대가로 대북제재를 완화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북한은 그동안 사찰 결과 발표를 거듭 미뤘다. 북한은 2016년 일본이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에 대응해 추가 제재를 가하자 조사단을 해산하고 조사를 중단했다.

이후 일본 최장수 총리인 아베 총리는 핵무장한 북한이 이미 밀수 문제를 해결했다고 주장하면서 북한에 대한 징벌적 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을 설득하려고 노력했습니다.

2019년 송일호 북한 최고대표는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에 대해 아베 총리를 “무례하고 부도덕하다”고 비난했다. 2020년 아베 총리가 사임하고 지난해 총살된 뒤에도 북한은 일본 정부에 납치 문제에 대한 입장 전환을 촉구해왔다.

제프 킹스턴 일본템플대학 아시아학부장은 “분쟁은 여전히 ​​중대한 걸림돌이며 기시타는 북한이 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을 바꿀 것이라는 북한의 기대에 부응할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킹스턴은 “북한은 심각한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최근 보고서는 생활 환경에 대한 암울한 그림을 그리고 있지만 이러한 취약성이 북한이 핵무기, 미사일 시험 또는 납치에 대한 입장을 누그러뜨리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김정은은 군사 정찰 위성 계획을 포함하여 국가의 핵 및 미사일 개발을 강화했으며 일본 관료는 안보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북한에 더 많은 압력을 가했습니다.

정부 소식통은 일본이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표명할 기회를 은밀히 찾고 있다”면서도 “일본이 도발을 강화해 지역 평화와 안정을 위협한다면 더 강경한 접근을 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2002년 납치피해자 5명이 일본으로 송환된 뒤 북한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공식 인정된 12명의 귀환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