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최근 무기공장을 방문해 남조선을 '주적'으로 언급하며 “전쟁을 피할 생각이 없다”며 도발하면 남조선을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 새해 초 북한은 약 200발의 포탄을 남한 서해안으로 발사했고, 이에 한국 정부는 약 400발의 포격으로 보복했다. 북한이 사흘 연속 포병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김 위원장이 남북관계를 '전쟁중인 두 적의 관계'로 표현한 이후 이러한 책략은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습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말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남북관계가 동지에서 두 나라 사이의 적대전쟁으로 발전할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더 이상 평화통일 개념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고, 필요하다면 남한 영토를 병합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의 수사는 북한의 남침정책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런 상황에서 한반도는 이제 휴전상태에서 갈등이 임박한 상태로 전환됐다.
포격 공격은 평양의 이전 약속을 잘 지켰다. 한일 군사합의를 포기하다 2018년 9월 19일에 서명되었습니다. 합의문에 명시된 대로 서해 완충지대를 겨냥한 것은 북한의 포병 공격 구조를 사실상 무력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이러한 발전은 역사적으로 한반도의 안보를 보장해 온 정전협정 및 기타 군사협정을 포함하여 오랜 합의를 훼손합니다. 그 결과 이 지역은 한국전쟁을 연상시키는 상태로 전락하게 됐다.
김 위원장의 남한을 적으로 선언한 것은 그의 통치 전략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김일성과 김정일은 침투작전과 기만적인 평화공격을 병행하여 남조선 정권을 전복시키려 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김정은은 계엄령 선포로 귀결된 핵미사일 도발을 통해 정면 대결에 대한 보다 과감한 접근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남북 적대관계를 공식 선언해 얻고자 하는 정치적, 외교적 이익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외교정책적으로는 한·미·일 동맹에 맞서고, 중국·러시아와 협력해 안보 개선을 도모하는 게 일차적 목표다.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의 이익을 노리고 있다. 북한은 긴장이 고조되면 중국이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중국의 한반도 정책은 불안정한 요소 없이 지역의 현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은 중국의 목표에 동조하는 것보다 불안정을 조성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11월 미국 대선은 북한 대외전략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북한은 선거 결과와 관계없이 위기상황보다 전쟁상태가 유리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김 위원장의 선언을 뒷받침하는 주요 동인에는 그의 통치 전술에 내적 동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부 장관이 강조한 바와 같이, 북한은 북한의 경제적 도전에 대한 국내 불만을 돌리기 위한 정치적 전략으로 반대자들과의 대결을 강화해 왔습니다. 중요한 질문은 북한이 처한 곤경의 심각성에 달려 있다. 북한이 경제적, 사회적 상황을 평가하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혼란스러운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세계식량계획(WFP)은 식량 및 영양 안보 분야에서 가장 심각한 도전에 직면한 20개국에 북한을 지속적으로 포함시켰습니다. 기근이 닥치면 평양은 전쟁 위기를 조성해 시민들을 강행군에 내몰리는 경향이 있다. 김 위원장이 남한과의 전쟁 의지를 확인하는 것은 북한 내 국내 불만과 긴장의 강도를 드러냅니다.
이제 한반도는 전쟁의 잠재적 핫스팟으로 떠올랐다. 미국은 오랫동안 중동과 한반도라는 두 개의 먼 극장에서 전쟁이 확대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 왔습니다. 미국은 현재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도 직접적인 개입을 피하면서도 지원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외교적 피로감이 쌓이는 징후는 뚜렷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미국과 동맹국들은 세 가지 위기에 빠졌습니다. 최근 북한이 계획한 발전은 저강도 갈등 시나리오를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국면을 드러낸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 방식은 군사적 갈등을 제한된 수준으로 제한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본질적인 위험은 언제든지 전면적인 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역사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직전에 북한은 의도적으로 국경을 따라 제한적인 군사적 대결을 벌였고, 이는 기습 남침의 구실을 제공했다. 최근 북한의 포격 도발은 이러한 전술적 책략을 반영하며 남한을 군사적 대결 구도로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한 전략의 전개는 김정은 체제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할 뿐입니다.
한반도가 분쟁지역으로 변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또 다른 과제이다. 핵미사일과 실험에 대한 대응책은 이미 국제협약에 따라 수립됐지만 그 실효성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관건은 군사 개입이 일어났을 때 어떻게 대응하느냐다. 당장의 우선순위는 억지전략을 넘어 북한의 추가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해 북방한계선(NLL) 아래에 북한 해군 함정이 나타나거나 해안포 포격 징후가 나타나면 즉각 레드라인을 설정해 강력한 대응을 예고해야 한다. 교전 중에 반복적인 보복과 반격으로 인해 전면전으로 확대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먼저 전쟁상태를 도발하려는 의도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북 압박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동맹 구도를 확대하는 것도 필요하다. 핵심동맹은 한국,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보다 포괄적인 다자세력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어야 한다. 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아군을 동원해 공동전선을 구성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대해 “쿼드 플러스“또는 심지어 아시아 지역에서 NATO의 확장도 있습니다.
이제는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의 갈등으로 북한이 또 다른 전쟁을 촉발하는 것을 막아야 할 때다. 그러한 상황이 전개되도록 허용하면 미국과 동맹국의 단결이 위태로워질 수 있습니다.
“불치의 인터넷 중독. 수상 경력에 빛나는 맥주 전문가. 여행 전문가. 전형적인 분석가.”
More Stories
김정은 “북한, 미국에 대항해 위력 과시 위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미국, 북한에 러시아 주둔 군대 철수 촉구 | 국가의
한국군은 북한이 핵과 ICBM 시험을 실시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