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8, 2025

Wpick

지상에서 한국의 최신 개발 상황을 파악하세요

중국 수입품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6% 하락했다.

한국과 중국의 무역을 나타내는 그래픽
한국과 중국의 무역을 나타내는 그래픽


지난해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6%로 떨어졌다. 이는 한·중 수교 이듬해인 1993년 5.2%에서 30년 만에 최저치다. 한국은 중국산 제품을 수입하는 국가 순위에서도 3위로 떨어졌다.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중국은 2023년 한국으로부터 1625억 달러 규모의 상품을 수입했다. 2022년보다 18.8% 감소했다. 이는 중국 전체 수입의 6.3%에 해당한다. 중국 정부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전체 수입액은 2조5680억 달러로 2022년보다 5.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산 수입국 순위에서 한국은 2위에서 대만(7.8%), 미국(6.5%)에 이어 3위로 떨어졌다. 한국이 중간재를 수출하고, 중국이 이를 가공해 완제품으로 판매하는 국제분업이 무너지면서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석유화학, 철강, 석유제품 등의 중국 시장에서 입지를 잃어 한국이 약화됐다. 중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존재.


지난해 한국 수출의 주력인 한국 반도체 산업이 계속 쇠퇴하면서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7%까지 떨어졌다. 2013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은 7년 연속 중국산 상품 최대 수입국이었다. 하지만 중국 내 한국산 스마트폰과 자동차, 디스플레이가 점차 줄어들면서 점유율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2017년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경제보복이 이런 추세를 가속화했다고 본다. 중국의 경제보복이 시작되기 직전인 2016년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0.4%였다. 그러나 2017년 9.9%, 2018년 9.7%, 2019년 8.4%, 2020년 8.4%, 2021년 8.0%, 2022년 7.4%, 2023년 6.3%의 하락 곡선을 보였다. 2013년 기준 시장점유율 20%의 중국 제조업체. 그러나 한국 스마트폰 거대 기업은 화웨이, 샤오미 같은 중국 거대 기업들에게 입지를 잃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는 2000년 전성기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7%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중국은 2010년대 중반부터 '메이드 인 차이나 2025' 계획을 통해 제조업을 장려해 왔다. 고급 반도체와 일부 디스플레이 제품을 제외하면 현재 경쟁력 있는 한국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공통 중간제품인 석유화학제품의 경우 중국의 중간원료, 윤활기유 등 범용제품 자급률이 90% 이상으로 높아져 한국 수출이 2013년 235억 달러에서 감소했다. 지난해 170억 달러. 코로나19 발생 전 중국의 자급률은 60% 안팎이었지만, 수년 간의 시설 확장 이후 중국은 더 이상 한국에서 이를 수입하지 않는다.


한때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화장품 등 한국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제품도 중국에서도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수출 709억 달러를 달성한 한국 자동차의 중국 판매액은 3억 달러에 그쳤다. 한국의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꼽히는 이차전지의 경우, 한국이 중국에서 이차전지를 수입한 금액은 83억 달러로, 이는 우리나라 이차전지 중국 수출액(5억 달러)의 16배에 해당한다.


한국의 중국 수출의 주축인 반도체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글로벌 IT 수요가 부진하면서 한국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2023년에도 위축됐다. 2023년 한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6% 감소한 361억 달러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중국 전체 수입에서 한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2002억 달러에서 2023년 1625억 달러로 18.8% 감소할 전망이다.